IT / / 2023. 1. 2. 16:01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 차이점

반응형

온라인 금융거래 시에나 정부 24등 각종 서류 발급 시에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2021년부터 기존에 사용하던 공인인증서가 '공동인증서'로 명칭이 변경되고, '금융인증서', '민간인증서' 등 새로운 인증서가 추가되었습니다. 온라인에서 인증서의 의미는 오프라인에서 신분증과 같은 개념입니다.

 

2020년까지는 국가가 인증한 공인인증기관 6개에서만 온라인 신분증인 공인인증서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하지만 2021년부터 이들 기관이 가지고 있던 독점권을 없애고 이제는 어느 곳이든 자유롭게 경쟁을 할 수 있도록 민간업체들도 신분확인을 할 수 있게 인증방법이 추가되었습니다. 온라인 신분증에는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민간인증서 있는데 각 인증서들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증서 관련사진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 차이점

 

 

 은행별 인증서등록 홈페이지 바로가기 

NHbank 신한은행 KB국민은행

1. 공동인증서 알아보기

공동인증서는 모든 전자거래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사이버 거래용 인감증명서로, 발급 대상에 따라 사업자용과 개인용으로 구분됩니다. 사업자번호로 업무를 진행할 경우, 사업자 인증서를 준비해야 합니다.

 

2020년 12월 10일 전자서명법 개정으로 기존의 공인인증서라는 말이 공동인증서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1999년부터 21년 동안 전자신분증 역할을 했던 공인인증서가 폐지되고 민간 인증서가 도입되면서 공인인증서에 부여된 독점적 지위가 소멸됨에 따라 ‘공인’이 ‘공동’으로 바뀐 것입니다. 공동인증서를 발급받음으로써 전자서명을 생성하는 전자적 정보로서 인증기관이 발행한 인증서를 말합니다.

 

전자서명의 기능인 공인인증서가 있으면 집에서 편리하게 정부24와 같은 사이트에 접속하여 관공서의 문서를 열람할 수 있으며 금융 결제도 간편하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개인공동인증서의 발급은 무료이며, 개인범용(용도제한 없음)공동인증서는 비용이 발생합니다(1년/4,000원  *부가세 별도)

 

인증서 관련사진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 차이점

공동인증서의 유효기간은 1년이며 기간이 만료되기전 수동으로 갱신 신청을 해야합니다. PC, 스마트폰, USB 등에 인증서를 보관할 수 있고 신청시 비밀번호를 지정해야 합니다(영문+숫자+특수문자 혼합)

공동인증서의 종류에는 개인공동인증서(무료), 개인범용공동인증서, 사업자(개인) 범용공동인증서, 사업자(법인) 범용공동인증서 등이 있습니다. 개인공동인증서는 무료이며 그 외 범용공동인증서 들은 비용이 발생합니다.

 

공동인증서의 장점

▶ 여러 인증서들 중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이용되었던 만큼 많은 기관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카드사나 일부 전자업무사이트에서는 아직 금융인증서를 지원하지 않아 공동인증서를 사용해야 합니다)

보안성인 상당히 우수합니다. 

 

공동인증서의 단점

▶ 공인인증서를 개인이 하드나 USB, 핸드폰 등과 같은 별도 저장 장치에 저장해야 합니다.

▶ 보안프로그램을 필수로 설치해야 합니다. 

갱신기간이 1년으로 짧습니다.

▶ 저장된 USB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비밀번호가 영문, 숫자, 특수문자 합해서 10자리 이상으로 매우 깁니다.

개인범용인증서은 연 4400원으로 유료입니다.

 물리적으로 저장해서 사용해야 하다 보니 공동인증서를 이동 복사하며 써야 해서 불편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인증서 관련사진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 차이점

2. 금융인증서 알아보기

금융인증서는 은행과 금융결제원이 공동으로 배포한 면허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금융인증서비스는 간편 비밀번호(PIN)·패턴·지문 등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금융인증서는 유효기간이 3년이며 자동연장이 가능합니다. 금융인증서의 경우 금융결제원 클라우드(기기 내부가 아닌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저장)에 보관하고 이용 시 금융결제원의 클라우드에 연결하여 이용합니다. 따라서 USB가 아닌 본인의 클라우드 계정에 인증서를 저장하고 사용합니다.

 

금융인증서의 장점

▶ 인터넷 서버인 클라우드에 저장이 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 본인 휴대폰만 있으면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 암호가 숫자6자리로 간편합니다.

▶ 갱신주기가 3년으로 공동인증서(1년) 보다 깁니다.

▶ 보안프로그램의 별도 설치가 불필요합니다.

 

금융인증서의 단점

▶ 사용 가능한 곳이 아직 까지 제한적입니다.

  (금융인증서가 적용되지 않는 웹(또는 앱)에서는 금융인증서 사용이 불가하여 공동인증서를 이용해야 합니다.

▶ 보안성이 아직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3.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의 차이점

구분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발급기관 한국전자인증, 한국증권전산, 한국정보인증, 한국무역정보통신,
한국인터넷진흥원, 금융결제원 등 6개 지정기관
금융결제원
유효기간 1년(수동갱신필요) 3년(자동갱신)
비밀번호 영문+숫자+특수문자 혼합하여 10자리 이상 6자리 숫자
보안프로그램설치 필요 불필요
인증서보관 위치 PC, 스마트폰, USB 등 클라우드 서버
인증서 이동 필요 불필요
타은행 이용 타은행 등록 필요 타은행 등록 필요
     

 

 ★ 공동인증서를 사용 중이더라도 금융인증서를 따로 발급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 개인공동인증서 및 금융인증서 발급은 희망하시는 은행 홈페이지의 인증센터에서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인증서 관련사진인증서 관련사진
인증서 관련사진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 차이점

 

4. 민간인증서

그 외에서 각종 본인확인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통신사나 플랫폼사업자 등이 발급한 인증서로써 PASS, 페이코, 카카오페이, 신한은행 인증서, 네이버 인증서, KB국민은행 인증서 등 지문인증이나 간편 비밀번호 설정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민간 인증서들이 있습니다. 민간인증서는 금융거래에는 사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증서 관련사진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 차이점

민간인증서 장점

▶ 아주 간편하게 발급 가능합니다.

▶ 암호가 숫자 6자리로 간편합니다.

▶ 갱신주기가 깁니다(3년)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가 불필요합니다.

 

민간인증서 단점

 제휴된 기관들만 사용가능합니다.

 보안성이 아직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4.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농협 공동인증서 발급방법 쉽게 확인하기

온라인 금융거래 시에나 정부 24 등 각종 서류 발급 시 본인 확인 수단으로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인증서의 종류에는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그 외 민간인증서 등이 있습니다. 여러 가지 인증

www.hyunju.kr

 

농협 금융인증서 발급방법 쉽게 확인하기

오늘은 인터넷 뱅킹에 필요한 금융 인증서를 발급받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융인증서는 모든 전자거래 시에 이용됩니다. 발급 수수료는 무료이며 발급 후 유효기간은 3년입

www.hyunju.kr

 

공동인증서 가져오기(PC에서 스마트폰으로)

우리는 인터넷 금융거래나 정부 24등 각종 서류 온라인발급 시에 필수로 공동인증서가 필요합니다. 개인 PC 뿐 아니라 개인 휴대폰에도 필수로 공동인증서 설치를 해야 편리하게 금융거래 등을

www.hyunju.kr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